호재개발기간
🚇 지하철 공사과정 (착공후 5년)
도시개발사업 수요 증가, 착공무렵 행정계획 발표
- 1단계: 국가철도망구축계획
- 2단계: 예비타당성조사(예타)
- 3단계: 재정방식 or 민자방식 결정
- 4단계: 민자라면 민자적격성 검토
- 5단계: 환경영향평가
- 6단계: 기본계획 + 실시계획 (4년)
- 7단계: 환경영향평가 (1년)
- 8단계: 착공(착공이후 투자해도 늦지 않음)
🛣️ 고속도로 공사과정 (착공후 6년)
공장, 창고, 산업단지 수요 증가
- 특징: 개통 1년 전쯤 가격 상승
- 영향: 물류 및 산업시설 입지 선호도 증가
- 투자시점: 공사 진행률 80% 이상시 주목
- 특이사항: 계획관리 투자시 근처 ㅁㅁ지구 생기는지 보자. ㅁㅁ지구 생성으로 공장.창고 이주 수요
🏢 택지지구 아파트 (착공후 7년)
착공하고 7년 걸리면 반쯤 들어옴
- 상업시설: 만세대 이상 + 차량주동선 → 스타벅스 입점
- 녹지효과: 주변 녹지지역의 상업적 가치 상승
- 교통개선: 광역교통개선대책도로 (신규도로 or 기존도로 확장)
- 규제완화: 농업진흥구역 규제 완화
- 투자시점: 착공 후 3년쯤 주변녹지 투자 검토